2025년, 차량 소화기 의무 설치로 안해 차량 내에는 반드시 소화기를 비치해두어야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차량에 비치할 소화기의 규격과 용량을 알아보고 어디에 비치하는것이 좋은지 알아보도록 합니다.
1. 반드시 “자동차겸용” 소화기로 비치하세요
차량에 비치해야하는 소화기는 반드시 “자동차겸용” 표시가 있어야 합니다. 무엇이 다른가 싶지만, “자동차겸용” 소화기는 진동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입니다. 자동차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도 고장나지 않도록 설계된 소화기이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는 자동차겸용 소화기가 꼭 필요합니다.
현재 시중에 판매중인 자동차겸용 소화기는 대부분 분말형소화기입니다. 분말형 소화기를 사

2. 차량용 소화기 용량
차량 크기별로 비치해야하는 소화기 용량도 다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0.7kg의 1단위 소화기 1개만 비치하셔도 됩니다. 11인승 이상의 카니발이나 스타렉스 차량이라면 2단위인 1.5kg의 소화기 한개 혹은 1단위(0.7kg) 소화기 2개를 비치해야 합니다.
각 차량별 필요한 소화기 용량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량 예시 | 소화기 용량 | 대체 | |
---|---|---|---|
5인승 이상 승용차 | 경차,세단,SUV,9인승카니발/스타렉스 등 | 1단위(0.7kg) 1개 | |
1000cc미만 경형 승합차 | 다마스 | 1단위(0.7kg) 1개 | |
소형승합차(15인승 이하) | 11인승 카니발, 11인승스타리아(스타렉스), 연예인차 같은 큰차 | 2단위(1.5kg) 1개 | 1단위(0.7kg) 2개 |
3. 차량용 소화기 설치 위치
차량용 소화기는 운전자가 손을 뻗었을 때 닿는 위치가 가장 좋습니다. 차량 화재는 초기 진압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보기에 좋지 않다고 숨겨놓는다면 화재시 초기진압에 실패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 앞쪽이나, 조수석 글로브박스 아래에 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글로브 박스 안이나, 헤드레스트 뒤쪽에 비치해도 좋지만, 다른 물건들이 가득차 있거나 보기에 좋지 않기 때문에 비치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트렁크에 두는 것이 미관성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만, 화재시 초기 대응이 느려질 수 있기에 안전을 우선으로 생각하신다면 처음 말씀드린 위치가 가장 좋겠습니다.
- 운전선 시트 앞
- 조수성 시트 앞
- 조수석 글로브박스 하단
- 트렁크
- 글로브박스 안
- 헤드레스트 뒤

4. 차량용소화기 관리 및 사용법
차량용 소화기를 사용할 일이 없는 것이 가장 좋지만, 필요할 때 반드시 작동되도록 관리하고 사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차량용소화기 관리법
보통의 문말형 ABC소화기와 같이 관리합니다. 한달에 한번씩 뒤집어서 흔들어주고, 압력게이지가 정상인지 확인해주면 됩니다. 분말이 굳거나 압력게이지가 초록색 범위를 벗어났다면 교체해야합니다.
또한 1회용이기 때문에 한번 사용했다면, 교체해야합니다. 유통기한은 10년으로, 자동차의 수명만큼 비치해놓을 수 있습니다.
- 한달에 한번씩 뒤집어서 흔들어줍니다. 분말이 굳지 않게 해줍니다.
- 한달에 한번씩 압력이 정상인지 확인합니다. 손잡이 부분에 있는 압력게이지가 초록색 범위에 있으면 정상입니다.
- 분말이 굳었거나, 압력이 정상이 아니라면 교체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사용법
- 비상등 켜고, 갓길 청차
- 119 신고 먼저
- 소화기를 꺼내 안전핀을 뽑습니다. 손잡이 윗쪽을 누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바람을 등지고 섭니다.
- 한손으로 소화기의 손잡이를 받쳐 듭니다.
- 다른손으로 호스를 잡아 조준합니다.
- 손잡이를 움켜잡고 발사합니다. 불타고 있는 물체에 골고루 뿌려줍니다.
- 화재를 진압했다면, 차량 후방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한 후 지원차량을 기다립니다
